**B2B Data Driven Marketing**
{{INLINETOC}}
====== B2B 기업분석 ======
* 핵심 타겟 오디언스 : 한국 B2B 기업의 마케터, 데이터 분석가
* 오디언스에게 전달할 내용 : 한국 B2B 기업에서 데이타 기반 마케팅을 위한 데이터 수집/정리/분석/활용
* 오디언스가 얻는 결과 : 한국 B2B 기업에서 데이터 기반의 마케팅 A-Z 를 익힌다. 시행착오를 줄인다.
KYC (Know Your Customer)
질문 50개
- 데이터 정리를 해야 하는 이유? - 잠재고객/ Cross-sell 공략
- 데이터 정리가 잘 되어 있나?
- 우리가 데이터 활용하고 있는 수준은?
- 데이터 활용을 위해 필요한 툴은? - excel/access로도 가능하다. Cloud/On Prem.
- 데이터 정리는 어떻게 해야 하나 - 고객단위 정의
- 그래서 우리나라 기업 수는 몇개인가?
- 데이터는 어디서 얻는가?
- 공공 데이터는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까?
- 공공데이터 말고 아이디어는? - DNS/IP
- 사업자 번호가 없는데 어떻게 할까?
- 고객 분류는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?
- 표준산업분류가 너무 복잡한데 어떻게 정리할까?
- 기업규모 분류는 어떤식으로 되어 있나?
- 종업원 수는 어떻게 알 수 있나? - 국민연금, 추정
- 사업자번호, 법인번호 만으로도 알 수 있는 정보는? - w/ 사업자등록증, 법인등기
- 어떤 지표를 관리하는 게 좋을까? - 수주잔고
- 기업고객 의사결정은 뭐가 다를까?
- 잠재 고객을 얻는 방법은? - nurturing
- 잠재 고객에게 어떻게 다가가면 좋을까? - E-mail, 우편, 콜드콜
- 다가갈 잠재 고객 리스트 얻는 방법 - Webinar, 전시회, ...
- 공공 고객은 어떻게 정리하고 공략? - 공공 hierarchy
- 공공 고객은 어떻게 정리하고 공략? - SW/ 나라장터
- 온라인/행동 데이터 활용은? - GA, 고객데이터 연결하기(ask GPT)
- 머신러닝 활용하는 방법은?
- 가설은 어떤 식으로 세우는게 좋을까?
- 개인정보는 어떻게 관리할까?
- 거래처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은? - CRETOP
[[data_analysis:work:DNS_IP_INFO]]
건물용도
개인정보 B2B
<큰 그림>
^ 우리고객 ^ 전체시장 확인^정보 붙이기 ^ 공략 ^
| 우리고객----|----| 정보(Seg.) | -> Cross/up Sell |
| | 잠재고객 | ::: | -> 신규 공략 |
B2B 기업 고객 분석을 위한 Data Cleansing 기준과 모수 산정을 위한 국내 기업 수 정보
===== 우리고객 확인 =====
고객 단위로 구분할 수 있나?
- 사업자번호, 명의자, 고객번호
정리할 수 있는 정보는 있는가?
-RFM
[[blog:do_you_have_a_marketing_data]]
===== 전체시장 확인 =====
==== 국내 기업 수 ====
[[data_analysis:work:biz_stats]]
기준에 따라 매우 상이함
==== 리스트 얻기 ====
===Key값===
사업자번호
법인번호
고유번호
이름/주소
외국기업은?
법인번호 1 : 사업자번호 N (85:지점)
공공기관 (정부-지자체-공공기관 의사결정 hierarchy)
-> 고유의 Key값을 만들어보는 것도 나쁘지 않음
===== 리스트 및 정보 얻기 =====
* **DB 구입** : KED, NICE, KCB, [[http://www.emnb.co.kr/main/index|한국콘텐츠미디어]], Navi 업체?, 전화번호부114
* **노가다 &****Crawling** + Naver, Daum 등
각 출처별 얻을 수 있는 정보 O X
==== Data List ====
=== Key 값인 사업자번호가 있는 데이터들을 찾아야 함 ===
* [[http://data.go.kr|공공데이터포털]] : 사업자번호, 사업자등록번호 등으로 검색해서 나오는 업종/지역별 List 정제
* [[https://www.data.go.kr/dataset/3034228/fileData.do|공공데이터포털 공공기관 경영정보]]
* [[http://www.alio.go.kr/etcPubdown.do|공공기관 일반현황]] : 기관명,기관유형,주무부처,기관설립일,설립근거,설립목적,주요기능 및 역할,기관연혁,경영목표 및 전략,기관장,기관장임기,기관장 주요경력,소재지,홈페이지,상위기관
* [[http://www.ftc.go.kr/info/dataopen/openCommList.jsp|공정거래위원회]] : 통신판매사업자, 선불식할부거래사업자, 대규모기업집단지정현황, 대규모기업집단공개현황, 다단계판매사업자, 방문판매사업자, 전화권유판매사업자 등
* [[http://franchise.ftc.go.kr/user/extra/main/62/firMst/list/jsp/LayOutPage.do|공정거래위원회 가맹사업거래 정보공개서]] : 프랜차이즈 들의 기업정보
* [[http://data.g2b.go.kr:8275/pt/pubdata/moveDnttRegistDtlsPop.do|수요기관 등록 내역]] : 공공 조달 관련 수요기관 정보
* Console : inqterm = 10000; 하면 1년단위 아닌 여러 해 단위로 추출 가능
* [[https://gongsi.crefia.or.kr/portal/creditcard/creditcardDisclosureDetail15?cgcMode=15|여신금융협회 대형가맹점 명단]] : 매출액 3억 이상의 법인/개인 카드 가맹점
* [[https://cert.k-startup.go.kr/prdct/getListPrdct.do|중소벤처기업부 창업기업 확인 시스템]] : 제품정보 등
=== 사업자번호 없지만, 이름/주소/전화번호 등으로 매핑 가능한 정보 ===
* [[https://open.eais.go.kr/opnsvc/opnSvcInqireView.do?viewType=7&searchCondition=03&searchKeyword=%EC%B8%B5%EB%B3%84%EA%B0%9C%EC%9A%94#|건축데이터 개방]]
* [[http://www.juso.go.kr/addrlink/addrlinkJusoDBMain.do|도로명주소 DB]]
* [[http://kssc.kostat.go.kr/ksscNew_web/kssc/common/CommonBoardList.do?gubun=1&strCategoryNameCode=019&strBbsId=kascrr&categoryMenu=014|한국행정구역구분현황]]
* [[http://data.go.kr/dataset/15012005/fileData.do|공공데이터포털_소상공인 상권정보 상가업소 데이터]] : 업체명,전화번호,업종,주소 등 데이터가 있음 (약 350만)
* [[http://www.localdata.kr/portal/main.do?menuNo=200001|지방자치단체에서 인허가하는 업종별 데이터]] : 업체명,주소 등 있음
* [[http://www.cleaneye.go.kr/programs/user/nportal/information/low/read.asp?sido_cd=&pageno=1&num=276&stype=&sval=|지방공기업현황]]
* [[https://www.data.go.kr/data/15083277/fileData.do|국민연금공단_국민연금 가입 사업장 내역]] : 사업자번호 앞부분 존재
* 각종 협회 회원사명들
* 버스: [[http://www.bus.or.kr/data/imwon.asp|http://www.bus.or.kr/data/imwon.asp]]
* 어린이집 : [[http://data.go.kr/dataset/15013108/standard.do|http://data.go.kr/dataset/15013108/standard.do]]
==== Data 채우기 ====
재무정보, 수요 정보 등
통계청 메타데이터를 통해서 통계치로 채우는 방법
=== 재무제표 ===
* [[http://dart.fss.or.kr/dsext002/main.do|전자공시시스템]]: DART 정보 일괄 다운로드
* 공공데이터포털 공공기관경영정보 (위에 있음)
* 공정거래위원회 가맹사업거래 정보공개서 (위에 있음)
* [[http://www.cleaneye.go.kr/Programs/User/nportal/main/index.asp|지방공기업 경영정보 공시시스템]]
* [[http://lofin.moi.go.kr/portal/service/openInfPage.do?infId=MIPPJADI6MAPZ3LEDLO6504049|지방재정365_지방공기업부채비율]]
== 외감기업? ==
◈ 직전 사업연도말 자산총액 120억원 이상
◈ 직전사업연도말 자산총액 70억원 이상 AND (부채 70억원 이상 OR 종업원 300명 이상)
◈ 주권상장법인(유가증권시장, 코스닥시장 및 코넥스시장)
◈ 해당 사업연도 또는 다음 사업연도 중에 주권상장법인이 되려는 회사
☞ 감사인 지정시 외감법 적용 대상으로 편입, 다만 코넥스시장 상장예정
법인은 감사인 지정이 면제되므로 상장추진이 결정된 시점부터 편입
※ 회사가 법정기한내 외부감사 대상임을 자진신고하지 않는 경우에는 금감원이 국세청으로부터 자산, 부채현황 등 관련 자료를 제공받아 외감대상 여부를 점검 파악한 후, 감사인 미선임을 사유로 감사인을 지정하여 회사에 통보
=== 수요,예산 ===
* [[http://www.swit.or.kr/DF/DFW/dfwGovSchList.jsp|SW,ICT장비 수요예보]] : 공공SW, ICT장비 구매수요정보 및 사업추진계획
* [[http://data.g2b.go.kr:8275/pt/main/index.do|조달정보개방포털]] : 공공기관 입찰 관련 정보
===== =====
=== 법인등기 ===
법인 등기 떼면 나오는 정보들
===== Data Cleansing/ 정보 붙이기 =====
==== Definition ====
[[https://meta.narastat.kr/metasvc/index.do|통계용어설명]] - 통계청 자료에 대한 정확한 정의를 기반으로 분류해야 함
[[https://kssc.kostat.go.kr:8443/ksscNew_web/kssc/main/main.do?gubun=1|통계분류포털]] - 여러 분류에 대한 설명 (업종, 직업 등)
[[https://blog.help-me.kr/category/1법인등기/|한눈에 보는 법인 설립]] - 법인설립에 관한 규정/법률 등을 확인할 수 있음
==== 사업자번호/법인번호 ====
만으로도 많은 것을 알 수 있다.
=== 법인번호 기준 ===
[[http://glaw.scourt.go.kr/wsjo/gchick/sjo330.do?contId=2207211&q=등기&nq=&w=yegu§ion=yegu_title&subw=&subsection=&subId=2&csq=&groups=2,7&category=&outmax=1&msort=d:1:1,d:2:1,s:1:0,s:3:1,p:4:0,p:3:0,s:6:1&onlycount=&sp=&d1=&d2=&pg=NaN#[별표 1] 등록번호구성|법인 및 재외국민의 부동산등기용등록번호 부여에 관한 규칙]]
=== 사업자등록번호 ===
[[data_analysis:work:corp_code|사업자번호구분 코드]]
[[https://www.nts.go.kr/info/info_01_06.asp#frmContent10|국세청]] 등록번호는 10자리(×××-××-×××××)로 구성되고 다음 각호의 기준에 의해 부여합니다.
1. 일련번호코드(3자리)
신규개업자에게 사용 가능한 번호 101~999를 순차적으로 부여합니다.
2. 개인 법인 구분코드(2자리) 가. 개인구분 코드
(1) 개인과세사업자는 특정 동 구별없이 01부터 79까지를 순차적으로 부여
(2) 개인면세사업자는 산업 구분없이 90부터 99까지를 순차적으로 부여
(3) 소득세법 제2조 제3항에 해당하는 법인이 아닌 종교 단체 : 89
(4) 소득세법 제2조 제3항에 해당하는 자로서 "(3)"이외의자(아파트관리사무소 등) 및 다단계판매원 : 80
나. 법인성격코드:법인에 대하여는 성격별 코드를 구분하여 사용한다.
(1) 영리법인의 본점 81,86,87, 88
(2) 비영리법인의 본점 및 지점(법인격 없는 사단,재단,기타 단체 중 법인으로 보는 단체를 포함) : 82
(3) 국가,지방자치단체,지방자치단체조합 : 83
(4) 외국법인의 본ㆍ지점 및 연락사무소 : 84
(5) 영리법인의 지점 : 85
3. 일련번호코드(4자리)
과세사업자(일반과세자ㆍ간이과세자),면세사업자,법인사업자별로 등록 또는 지정일자순으로 사용 가능한 번호를
0001~9999로 부여합니다.
4. 검증번호(1자리)
전산시스템에 의하여 사업자등록번호의 오류여부를 검증하기 위하여 1자리의 검증번호를 부여합니다.
== 간이/일반과세 ==
[[https://www.nts.go.kr/call/vat/2015_03/htm/126100.htm|국세청]]
- 간이과세면 세금계산서 발행이 안됨
==== 기업규모 ====
[[http://www.yonhapnews.co.kr/bulletin/2015/06/25/0200000000AKR20150625056100030.HTML|소기업 기준 33년만에 매출액 중심으로 개편]]
- 중기청은 중기업과 소기업의 경계에 있는 업체들이 소기업으로 남아 정부 지원을 받으려고 고용을 늘리지 않는 등 업계에 '피터팬 증후군'이 만연해 분류 체계를 개편했다고 설명했다.
법적 규모는 행정상의 편의와 산업 발전의 방향에 맞춰져 있기 때문에, 각자 업에 맞는 규모로 재분류 할 필요도 있다.
종업원수, ARPU,
[[http://www.smba.go.kr/site/smba/01/10106060000002016101111.jsp|중소기업청 중소기업범위기준]]
- 대기업: 상호출자제한 및 채무보증제한 기업집단 소속
- 중견기업: 중견기업 성장촉진 및 경쟁력 강화에 관한 특별법 - 제2조,시행령 제2조
- 중소기업기본법상 중소기업의 범위 초과 기업
- 상호출자제한 기업집단 및 공공기관, 금융.보험 및 연금업, 금융 및 관련 서비스업에 해당하지 않는 기업
- 보호대상 중견기업: 하도급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 - 제13조 등
- 중견기업에 해당하는 기업 중 업종별 직전년도 매출액 기준 충족
- 한시성 중소기업: 중소기업기본법 - 제2조 제3항
- 종소기업범위 기준을 초과하는 기업 중 일정 조건을 충족하는 기업에 대해서 유예기간 적용하여 중소기업 지위 인정
- 중기업,소기업,소상공인: 중소기업기본법 시행령 - 제3조, 제3조의2, 제4조, 제7조, 제7조의 2, 제8조 등
- 규모기준, 상한기준, 독립성기준(제외대상)
- 소상공인: 소상공인지원을 위한 특별조치법 시행령 - 제2조
- 판단제외 대상: 중소기업기본법 - 제2조, 중견기업법 및 시행령 - 제2조
- 비영리 목적의 개인사업자
- 비영리법인 및 단체,조합,협회
- 중소기업 범위를 초과하는 금융.보험 및 연금업(업종코드K)
- 공공기관
==== 업종 ====
[[https://kssc.kostat.go.kr:8443/ksscNew_web/link.do?gubun=001#|통계청 한국표준산업분류]] : 9차 기준 1,940개 –> 업의 상황에 맞게 줄일 필요가 있음 [[:data_analysis:clustering|Clustering]]
국세청 업종분류 : 사업자등록증 OCR
표준산업분류 내의 기업수와 자사 침투율을 비교하여 유의미한 구분으로 통합
[[https://link.springer.com/article/10.1057/palgrave.dbm.3240279|A structured approach to B2B segmentation, Journal of Database Marketing & Customer Strategy Management, Volume 13, pages 64–75, (2005)]]
{{:data_analysis:work:pasted:20250228-155636.png}}
==== 회사 이름으로 ====
하허호 처럼 렌터카를 구분하는 것은 잘 알고 있지만,
사자아바 등 문자와 숫자 범위로 영업용, 차종 등을 구분할 수 있다는 사실
[[https://www.law.go.kr/%ED%96%89%EC%A0%95%EA%B7%9C%EC%B9%99/%EC%9E%90%EB%8F%99%EC%B0%A8%20%EB%93%B1%EB%A1%9D%EB%B2%88%ED%98%B8%ED%8C%90%20%EB%93%B1%EC%9D%98%20%EA%B8%B0%EC%A4%80%EC%97%90%20%EA%B4%80%ED%95%9C%20%EA%B3%A0%EC%8B%9C|자동차번호판(행정규칙)]]
[[data_analysis:work:Company_name_matching]]
===== Analysis View =====
==== Customer Journey ====
탐색 > 가입 > 이용 > 재가입 > 해지
==== 탐색~가입 : Funnel ====
Pipeline Funnel? - 건전성
- 인사이드세일즈, 컨텐츠 마케팅
RFM –> 3단계 마케팅 방안 수립 (앞에서 블로그 글)
지표들 : M/S (얻는법? 영업사원 입력, 추정), 침투율, 서비스개수
계정과목 통한 추정
==== AI/머신러닝 활용 ====
모델링 가설/ 실제 활용 예시
크로스셀 - 우리고객 대상
ㄴ 기반 [[data_analysis:work:product_recomm]] : 잠재고객에 있는 가설만 이용
해지 위험도
VoC 칭찬 불만
활용-홈페이지 배너, 문자/Push, 고객센터 IB/OB
{{tag>업무 분석}}