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how pageOld revisionsBacklinksFold/unfold allBack to top This page is read only. You can view the source, but not change it. Ask your administrator if you think this is wrong. ====== 기획,분석가가 알아야 할 사람에 대한 사실:무행동편향 ====== === === {{section>data_analysis:blog_human_series &indent&nolink&nouser&noeditbtn&nocomments¬ags&nodate}} 부작위 편향(omission bias), 무행동 편향 백신 접종의 부작용이 더 커보임 (백신으로 예방 가능성 > 백신 부작용 가능성 임에도..) [1] '사람들은 행동의 오류에 지나치게 집착하고, 기업은 실패의 비용을 지나치게 강조한다. 알아차리기 힘들지만 기업에 있어서 가장 큰 비용은 무행동의 오류다' - 제프 베조스 트롤리 딜레마 [1] https://namu.wiki/w/%ED%8A%B8%EB%A1%A4%EB%A6%AC%20%EB%94%9C%EB%A0%88%EB%A7%88 백신이 영구 장애를 일으킬 위험은 0.001% vs. 백신을 접종한 아이 10만명 중 한 명이 영구적으로 장애아가 된다 → 이미지를 떠올리게 함 [4] 한가지 시나리오에만 집중하면 안됨. 일어날 확률을 과대평가할 것 구체적인 대체 가능한 시나리오. 모든 시나리오 발생률의 합이 100%가 되어야 한다. 결정가중치 [4] 낮은 확률에 과도한 가중치 부과. ex. 0.001% 암 발병률 ~ 0.00001% 구분X. 걱정을 줄이기 위해서는 0%로 내려가야 한다. ===== 생각해 볼 점 ===== 숫자가 어떻게 받아들여질지 생각해야 한다. 확률만 주지 맡자. ===== Reference ===== ==== More ==== {{topic>blog blogs -tag1 &desc&nocomment&nodesc¬ags}} {{tag>blog 심리 행동경제학 사대사 무행동편향}} ~~DISCUSSION~~ blog/draft/human_omission_bias.txt Last modified: 2025/07/07 14:12by 127.0.0.1